양방정보

황반변성과 노인 정확히 구분하고자 한다면?

건강신호등 2022. 7. 27. 13:29

황반변성과 노인 정확히 구분하고자 한다면?


노인성 질환은 노화가 진행되게 되면
매우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없다고 한다면
매우 위험한 질환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이유로 황반변성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고자 합니다.
해당 질환은 노인성 실명 질환으로 1위를 하고 있으며,
이는 정기적인 안과검진이 매우 필요한 부분입니다.


환반이라고 하는 것은 시세포가 밀집이 되어 있으며,
시력의 90%를 담당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해당 부위에서 변성이 일어나게 되거나 혹은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게 되거나 이 외에도 직선이
휘어져 보이게 되는 증상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증상을
방치하게 된다고 한다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부분이므로 이를 절대적으로 방치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황반변성의 경우에는 뚜렷하게 자각증상이
없으며, 병이 더 진행이 되는 경우에는 사물이
점차 흐리게 보이고 물체가 휘어져서 보이게 되는
변형시를 경험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런 이후에는 사물의 중심이 점차 까맣게
보이게 되고 글자 사이에는 공백이 생기게 되는 등으로
이상 증상의 인지를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황반변성의 경우에는 한쪽 눈으로 부터
병이 진행이 되고 있으므로 양안 사용하는 경우에는
명확한 차이에 대해서 이를 구분하는 것이 어려워서 
이에 대한 이상 증세를 감지하며 검진을 받을 때는 이미
회복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조기 검진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하지만 황반변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를 노안과 구분을
하기 어려워서 검진을 하는 때를 놓치게 되는 경우
결국 실명하게 되는 사례들이 매우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노화가 시작이 됐다고 생각을 하는 경우
바로 검진을 진행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입니다.



30대의 경우 1년에 한번씩에서 6개월에 한번씩
진행하는 거싱 가장 좋으며, 40대에 그리고 50대의
경우 3개월에서 6개월에 한번씩 검진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상소견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정기 검진을
하게 된다고 한다면 체계적인 치료 계획이
진행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만약, 황반변성이나 혹은 노인성 질환이
의심이 되는 경우 반드시 검진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